paint 이야기

22. 내화 도료란 무엇인가?

松泉 2010. 6. 29. 13:53

내화 도료란 무엇인가?

내화 도료는 철골구조물을 보호하는 역할로써 화재로 인한 철골 붕괴를 미연에 방지를 목적으로 도장하는 도료입니다.

 

전문적인 용어로 설명한 자료를 보면...

 

내화 도료는 화재 발생시 불꽃에 의해 도막이 가열되면 급속히 팽창하여 다공성의 두터운 단열 탄화층을 형성함으로써 불꽃이나 열에 의해 철구조물이 휘거나 뒤틀려 건축물이 일시에 붕괴되는 현상을 막아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기능성 페인트입니다.


 

 

 

내화 도료는 성분으로는 무기질과 유기질로 분류하고, 내화성능시간에 따라 1시간용, 2시간용으로 분류하며, 삼화페인트에서는 유기질 유성 타입의 1시간용(플레임체크 SS-1400), 2시간용(플레임체크 SS-2300, 플레임체크2HR) 내화 도료가 있습니다.

 

★ 내화도료 제품명은 인증서 갱신에 따라 변경되오니 구입시점에 정확한 제품명 확인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2009년 8월 기준, 삼화페인트에서 생산되는 내화도료 제품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1시간용 : 플레임체크SS-1400

2시간용 : 플레임체크SS-2300, 플레임체크2HR

 

자세한 기술적인 사항은 첨부한 기술자료 및 작업(도장)사양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플레임체크SS-2300                                         철골 구조물

 

                           도장 모습                                                 도장 모습

 

                         도막 두께 측정                                    도막 두께 측정

 

                         도막 두께 측정                                      도막 두께 측정

 

<참고>

기술자료

 

* 본 자료에 제시된 내용은 실험실적 시험과 현장응용 결과에 따라 얻어진 것이나 품질개선이나 작업조건에 따라 바뀌어질 수 있습니다. 2006.4. 인쇄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
Flame Check SS-2000(Column) SB-F-621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은 화재 발생시 강력한 내화(耐火)성능을 발휘하여 재해를 방지하도록 설계된 국내 최초 유기질 유성 타입의 내화 도료입니다.화재 발생시 불꽃에 의해 도막이 가열되면 급속히 팽창하여 다공성의 두터운 단열 탄화층을 형성하여 불꽃이나 열로부터 철구조물의 급격한 내력저하로 인해 건축물의 붕괴 현상을 막아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고 기능성 발포형 내화도료입니다.

- .용 도

 

일반시설, 주거시설, 산업시설 및 위험물 시설의 철골 보용의 2 시간용 유성 내화도료


-. 사용방법

1. 표면처리
1) 선행 프라이머는 당사 추천 도료를 사용 하십시오.
2) 선행 방청 프라이머 처리된 피도면에는 유분, 수분,오물 등이 없도록 깨끗이 하여야 합니다.
3) 기 도장된 방청 프라이머의 도막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그 주위의 구도막을 제거한 후 당사 추천 방청 프라이머로 재도장 하여야 합니다.


2. 작업기상조건
대기 온도 : 5∼35℃, 상대습도 : 85%이하


3. 도장기구
1)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원칙으로 하며 필요 시 부분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할 수 있습니다.
2) 에어리스 스프레이
- 노즐 구경: 0.025~0.035 인치
- 분사압력: 3,000PSI(210kg/cm2)이상
3) 희석율: 무희석 도장을 원칙으로 하나 필요 시 최대 5%까지 희석 사용 하십시오.


4. 주의사항
1) 타 도료와의 혼합사용을 금합니다.
2) 일반도료가 칠해져 있는 곳에 도장할 경우는 당사에 문의한 후 당사에서 추천하는 도장시스템으로 도장하십시오.
3) 상도도료 도장 이전까지는 강우나 강설 등의 물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4) 1 회 과도하게 두껍게 도장할 경우 도막의 건조지연, 접착불량 및 크랙 발생 등 도막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 하십시오.
5) 방청하도도료로 KSM 6030 1 종(광명단 방청프라이머)류 도료가 도장 된 경우 내화 도료로 도장시 내부 건조 상태에 따라 주름현상이 발생 할 수 있으니 주의 하십시오.
5) 건조도막이 인정도막 두께 이상으로 도장 되어야만 내화구조로서 인정을 받습니다.
6) 후속 상도도료의 재도장 간격시간은 25℃기준 최소 3 일 이상 경과 후 추천도료로 상도 도장하십시오.
7) 제품은 화기 및 직사광선을 피하여 상온(5∼35℃)의 건냉암소에 보관하시되, 용기는 반드시 밀폐시키고 주입구가 상단을 향하도록 세워서 보관하십시오. 사용 후 잔량도 같은 방법으로 보관하십시오.
8) 비오는 날, 습도가 높은 날(85% 이상), 기온이 낮은 날(5℃이하)에는 정상적인 물성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도장작업을 피하십시오. (도막의 균열, 부착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음)
9) 구 도막위에 보수도장 시 구 도막과의 적합성을 확인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5. 경고사항
별첨의 경고사항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6. 도장시스템
하도: 방청 프라이머(KSM 6030 1 종, 에포마 프라이머 등)
상도 : 조합페인트(KSM 6020 1 종), 777 에나멜, SC 코트 등


7. 법규관련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은 수도권대기환경개선 특별법에서 제시하는 용도분류내에서 규정된 VOC 규제를 만족하므로 수도권 권역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대기환경개선 특별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물성자료


마감상태 ; 무광
색 상 ; 백색
피 도 면 ; 철골
조 성 ; 1 액형
불휘발분 ; 72±2 %
추천건조도막두께 ; 4,200 ㎛
도장횟수 ; 4~6 회
비 중 ; 1.34±0.05
이론도포면적 ; 약 0.153 ㎡/L (건조도막두께 4,200 ㎛시)
* 도장작업시 손실량과 표면상태를 고려하십시오.
희석제 - 하절기: 신나 014
             동절기: 신나 031 (11 월~3 월 기준)
저장기간 ; 12 개월 (5~38℃실내보관시)
건조시간(W.F.T=1,000 ㎛ 도장 시)
                 5 ±1℃           20 ±1℃
지 촉 건 조   1 시간            30 분
고 화 건 조   24 시간          12 시간
경 화 건 조   48 시간           30 시간
재 도 장 간 격 48 시간         24 시간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
Flame Check SS-2000(BEAM) SB-F-621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은 화재 발생시 강력한 내화(耐火)성능을 발휘하여 재해를 방지하도록 설계된 국내 최초 유기질 유성 타입의 내화도료입니다. 화재 발생시 불꽃에 의해 도막이 가열되면 급속히 팽창하여 다공성의 두터운 단열 탄화층을 형성하여 불꽃이나 열로부터 철구조물의 급격한 내력저하로 인해 건축물의 붕괴 현상을 막아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고 기능성 발포형 내화도료입니다.

 

-. 용도.


일반시설, 주거시설, 산업시설 및 위험물 시설의 철골 보용의 2 시간용 유성 내화도료

 

-. 사용방법


1. 표면처리
1) 선행 프라이머는 당사 추천 도료를 사용 하십시오.
2) 선행 방청 프라이머 처리된 피도면에는 유분, 수분,오물 등이 없도록 깨끗이 하여야 합니다.
3) 기 도장된 방청 프라이머의 도막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그 주위의 구도막을 제거한 후 당사 추천 방청 프라이머로 재도장 하여야 합니다.


2. 작업기상조건
대기 온도 : 5∼35℃, 상대습도 : 85%이하


3. 도장기구
1) 에어리스 스프레이를 원칙으로 하며 필요 시 부분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할 수 있습니다.
2) 에어리스 스프레이
- 노즐 구경: 0.025~0.035 인치
- 분사압력: 3,000PSI(210kg/cm2)이상
3) 희석율: 무 희석 도장을 원칙으로 하나 필요 시 최대 5%까지 희석 사용 하십시오.


4. 주의사항
1) 타 도료와의 혼합사용을 금합니다.
2) 일반도료가 칠해져 있는 곳에 도장할 경우는 당사에 문의한 후 당사에서 추천하는 도장시스템으로 도장하십시오.
3) 상도도료 도장 이전까지는 강우나 강설등의 물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요.
4) 1 회 과도하게 두껍게 도장할 경우 도막의 건조지연, 접착불량 및 크랙 발생 등 도막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 하십시오.
5) 방청하도도료로 KSM 6030 1 종(광명단 방청프라이머)류 도료가 도장 된 경우 내화 도료로 도장시 내부 건조 상태에 따라 주름현상이 발생 할 수 있으니 주의 하십시오.
5) 건조도막이 인정도막 두께 이상으로 도장 되어야만 내화구조로서 인정을 받습니다.
6) 후속 상도도료의 재도장 간격시간은 25℃기준 최소 3 일 이상 경과 후 추천도료로 상도 도장하십시오.
7) 제품은 화기 및 직사광선을 피하여 상온(5∼35℃)의 건냉암소에 보관하시되, 용기는 반드시 밀폐시키고 주입구가 상단을 향하도록 세워서 보관하십시오. 사용 후 잔량도 같은 방법으로 보관하십시오.
8) 비오는 날, 습도가 높은 날(85% 이상), 기온이 낮은 날(5℃이하)에는 정상적인 물성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도장작업을 피하십시오. (도막의 균열, 부착불량등이 발생할 수 있음)
9) 구 도막위에 보수도장 시 구 도막과의 적합성을 확인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5. 경고사항
별첨의 경고사항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6. 도장시스템
하도: 방청 프라이머(KSM 6030 1 종, 에포마 프라이머 등)
상도 : 조합페인트(KSM 6020 1 종), 777 에나멜


7. 법규관련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은 수도권대기환경개선 특별법에서 제시하는 용도분류내에서 규정된 VOC 규제를 만족하므로 수도권 권역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별첨의 ‘수도권대기환경개선 특별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물성자료


마감상태 ; 무광
색 상 ; 백색
피 도 면 ; 철골
조 성 ; 1 액형
불휘발분 ; 72±2 %
추천건조도막두께 ; 4,250 ㎛
도장횟수 ;  4~6 회
비 중  ; 1.34±0.05
이론도포면적 ; 약 0.153 ㎡/L (건조도막두께 4,250 ㎛시)
* 도장작업시 손실량과 표면상태를 고려하십시오.
희석제 - 하절기: 신나 014
             동절기: 신나 031 (11 월~3 월 기준)
저장기간 ; 12 개월 (5~38℃실내보관시)
건조시간(W.F.T=1,000 ㎛ 도장 시)
                 5 ±1℃      20 ±1℃
지 촉 건 조 1 시간        30 분
고 화 건 조 24 시간      12 시간
경 화 건 조 48 시간      30 시간
재 도 장 간 격 48 시간  24 시간

 

 

* 2 시간용 유성 내화도료 표준 작업사양서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


본 시방은 일반시설 및 주거시설, 산업시설, 위험물 시설의 2 시간 내화성능을 요하는 철골 기둥
(Column)에 피복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피복 방법 및 피복재 고유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작성된
시방서이다.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 도료는 일반 도료 도막으로 도장 되어 화재 시 강력한 내화 성능을 발휘하여 화재로부터 철재 구조물을 보호하도록 설계된 국내 최초 유기질 유성 내화 도료로서 도막이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면 급속하게 발포 팽창하여 원래의 도막보다 40 ∼ 60 배 체적 팽창되어 견고한 단열 층을 형성하여 열이 철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화 성능이 우수한 유성형 발포성 내화도료(중도)로서 삼화페인트공업㈜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으로 사전에 견본을 제출하여 감독관의 승인을 득한 후 적용한다.


1. 적 용 범 위


? 일반시설, 주거시설, 산업시설 및 위험물 시설의 철골 기둥용의 2 시간용 내화도료.


2. 시 공


1) 표면처리


① 하도 도료가 도장 되어 있지 않을 경우 표면처리는 샌드(sand), 쇼트(shot), 그리트(grit)를 원심분리 휠 혹은 노즐을 통하여 산포하여 피도체에 부착된 밀 스케일, 녹 등의 기타 이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SSPC-SP-10(SIS-Sa 21/2) 까지 처리한다.


② 하도 도료가 기 도장 되어 있을 경우 피도물 표면에 있는 수분, 오물, 먼지 및 이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한다. 단, 기 도장 된 방청도료의 도막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표면처리 후 KSM 6030 1 종 이상의 방청도료를 재도장 하여야 한다. 당사 추천 하도 이외의 도료를 도장 하거나, 기 도장되었을 경우 당사와 사전에 협의 하여 적합성 여부를 시험한 후 중도 도장 하여야 한다.


2) 피복재


① 철골 내화 피복재 중도는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으로 1 액형 유성 백색 도료이다.


② 하도는 방청도료를 사용하며, 다양한 색상을 위하여 상도를 도장하여 상도에 따라 최종 색상이
결정된다.


3) 도장사양 및 도장기구


① 하도 : KSM 6030 1 종 광명단 조합페인트류 및 동등이상의 방청도료 (50 ㎛)


도장기구 : 붓, 로울러, 스프레이 등.


② 중도 :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 (4,200 ㎛)


도장기구 :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을 원칙으로 하며, 부분적으로 에어리스 도장이 곤란한 특수한 부위에는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할 수 있음.


③ 상도 : KSM 6020 1 종 조합페인트류, 알키드 에나멜류 및 당사가 추천 하는 KS 표시품 동등이상의 도료 (50 ㎛). 단, 외부 도장의 경우 (최소 100 ㎛이상)

 

도장기구 : 붓, 로울러, 스프레이 등


4) 표준도장사양


도장순서
제품명 규격 번호
도장회수
도막두께(㎛)
소요량 (L/m2)
실소요량 (L/m2)
비 고 Loss 율
• 하 도 ; KSM 6030 1 종 방청도료류 SB-P-01 1 50 0.079 0.099 20%
(주 1)슈퍼징크 190BG SB-SZ-190BG 1 75 0.119 0.149 20%
슈퍼폭시 130 SB-SP-130 1 50 0.106 0.133 20%
1
KS 제품 동등 이상의 제품 1 50 - - -
• 실 러 ( 하도가 슈퍼징크 190BG 인 경우)
2 (주 2)슈퍼폭시 130 SB-SP-130 1 40 0.085 0.106 20%
• 중 도
2~3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
SB-F-622
4∼
6
4,200 6.45 8.06 20%
• 상 도
조합 페인트류
(KSM6020 1 종
1 급 기준)
SB-P-20 1 50
0.05~0.08
(색상에
따라 다름)
0.07~0.10
(색상에
따라 다름)
20%
자연건조형 알키드
수지 에나멜류
(KSM6020 2종 1급기준)
SB-E-489 1 50
0.09~0.15
(색상에
따라 다름)
0.11~0.18
(색상에
따라 다름)
20%
염화고무계 도료
(S.C 코트 기준)
SB-P-91 1 50
0.13~0.20
(색상에
따라 다름)
0.15~0.24
(색상에
따라 다름)
20%
아크릴 페인트류
(본코트 AC형 기준)
SB-BT-310 1 50
0.12~0.15
(색상에
따라 다름)
0.14~0.18
(색상에
따라 다름)
20%
3~4
기타 당사가 추천 하는
KS 표시품 동등 이상의 제품
1 50 - - -
합 계
6∼
9
4,300 ~ 4,365 - - -
(주 1). 슈퍼징크 190BG(무기질의 징크 프라이머)로 하도 도장할 경우 반드시 당사 추천 실러(Sealer)를
지정희석제 15~20%(부피비)로 희석하여 도장 하여야 함.
(주 2). 실러 지정 희석제: 신나 395
5) 건조시간 및 조건
① 내화도료 중도 완전 건조기간
구 분 기 간 비 고
하절기 3 개월 이상
동절기 5 개월 이상 건조환경에 따라서 단축/연장이 가능함.
② 건조조건
건조
피복재
지촉 건조 고화건조 경화건조 비고
중 도 (플레임 체크 30 분 12 시간 30 시간 20±1℃
SS-2000(기둥용)) 1 시간 24 시간 48 시간 5±1℃


* 본 시방은 젖은 도막 두께는 1,000 ㎛이고, 계절 및 주위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의
조건을 기준으로 한다.
* 중도 도장 후 상도는 최소한 중도 및 하도 의 고화 건조 후 50 ㎛이상 도장한다.
* 단, 외부 노출 부위는 상도의 건조 도막 두께가 최소 100 ㎛이상이 되도록 도장 한다.


6) 작업 조건


① 온도
도장 시공시의 기온은 반드시 5℃이상, 40℃이하이며, 만약 표면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건조가
너무 빨라서 핀홀(Pin hole), 퍼짐성 불량, 접착력 감소 등의 도막 결함의 원인이 발생될 수 있으며
표면온도가 너무 낮아 습기나 서리가 있는 경우에는 불완전한 경화, 접착불량, 건조 지연,
Cratering 현상 등 제반 물성을 나타낼 수 없게 됨을 유의해야 한다.


② 습도
도장 시공 시의 습도는 상대습도 30%이상, 85%이하이며, 피도면 온도는 이슬점(Dew Point)보다
3℃이상 높아야 한다. 그리고 습도가 높고 아울러 기온이 높으면 수분의 응축현상이 잘 일어나 도막의 하자 (접착력 감소, 건조불량. 광택얼룩 문제) 요인이 된다.


③ 조명
도장 시공 시의 조명은 시공자가 시공상태, 및 습도막 두께층을 조절할 수 있는 충분한 조도를 확보해야 한다.


④ 전기용량
도장 시공 시의 전기용량은 시공과 관련된 설비들을 규정 용량에 준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전기용량과 정격전압을 확보해야 한다.


⑤ 환기조건
도료 도장 시나 건조과정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해야 하며 밀폐된 공간에서의 도장은 작업자에게
유해할 수 있다.


⑥ 기타 작업 환경
주의 여건상 화학물질이나 분진 등 오염될 수 있는 환경인 경우 피도면의 오염은 세척을 하여야
하며 최대한 도장간격을 줄여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철골 구조물이 설치된 직후 도장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7) 시공 장비
스프레이,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이 가능하나, 도장 방법은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을 원칙으로 하고, 부분적으로 현장 사정상 공사가 곤란할 경우에는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할 수 있다.


① 에어리스 스프레이
가) 압력비 : 60:1, 45 : 1
나) 압력 (PSI) : 3000PSI (210 kg/cm2) 이상
다) 노즐 사이즈 (TIP) : 0.025″∼ 0.035″ (중도), 0.015″∼ 0.029″(상도).
라) 사용 호스 내경: 3/8 인치 이상(10mm이상)


② 에어 컴프레샤
특별한 사양의 에어 컴프레샤가 필요한 것은 아니나, 에어리스 도장기 자체가 많은 양의 압축공기를 소모하므로 도장 중에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을 정도의 공기저장탱크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때 공기저장탱크의 압력은 항상 8 kg/cm2이상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기타장비 : 스위벨, 붓, 로울러


8) 시공 방법


① 표면처리


도료의 도장에 필요 불가결한 중요공정이 표면처리이며 불충분한 표면처리는 도막 성능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게 됨으로 무엇보다 완벽한 표면처리를 해야 한다.
특히, 철재 표면에는 대체로 적녹이나 흑피, 가공시의 기계유, 손 기름 등이 묻어 있으므로 이러한
오염물위에 도장을 했을 경우 접착력 불량, 탈리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② 도장방법 및 도구


가. 도장방법의 선택
도장방법은 작업조건 및 작업환경에 의하여 다소 변경될 수 있으며 도장 시 스프레이,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이 가능하나, 균일한 도막두께 및 양호한 외관을 얻기 위해서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방법이 좋으며 부분 적인 보수도장 시에 붓 또는 로울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 도장 전에 도장할 표면의 먼지 이상 물질들을 제거해야 하며, 표면이 도장 전에 만족할 만큼
깨끗한 상태인지 육안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 도료를 도장하기 전까지는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동 교반기(Hand Mixer)로 도료
상태가 균일하게 될 때까지 약 5 분 이상 충분히 혼합한 다음에 시공한다.


ⓒ 내화도료 하도 도료는 KSM 6030 1 종 (광명단 조합페인트), 에폭시 수지계 방청도료 등 KSM
6030 1 종 (광명단 조합페인트) 동등 이상의 도료를 각각의 규정된 시공방법에 따라 도장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50 ㎛ 이상이 되도록 한다.이때 내화도료 하도 도료로 KSM 6030 1 종 (광명단 조합페인트)도료가 도장 되는 경우 하도 도료의 내부 건조 상태에 따라서 내화도료 도장 시 주름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으니 주의 하여야 한다.


ⓓ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Inorganic Zinc Primer)로 하도를 도장하거나 기 도장된 부위에 내화도료
중도를 도장 할 경우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의 다공성으로 인한 수포(Popping)현상을 방지 하기 위하여,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의 완전 건조된 것을 확인 한 후 반드시 지정된 실러(Sealer)로 도장 하여야 한다. 하도 및 실러 도장 작업은 상기의 표면 전처리 이후 각 시방서의 도장 방법에 준하여 도장하여야 하며, 이때 실러는 지정희석제로 15~20%(부피비) 희석 후 미스트코트(Mist-Coat) 도장 하여야 한다. 건조후의 도막 두께가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는 75 ㎛ 이상, 실러는 40 ㎛ 이상이 되도록 한다.


ⓔ 방청도료가 도장 된 철골의 경우에는 내화도료 중도 도료와의 층간 밀착성을 확인하여 양호한
경우에는 중도 도료를 시공하고, 만약 불량한 경우에는 적합한 내화도료 하도 도료를 도장한 후에 중도 도료를 시공한다.


ⓕ 내화도료 하도 도료를 도장한 후 충분히 건조가 되면 내화도료 중도를 재도장 간격이 온도 20℃, 상대 습도 80%이하의 건조 조건에서 최소 24 시간 이상이 되도록 준수하면서 건조 후 도막의 두께가 중도 단독으로는 4,200 ㎛, 하도를 포함해서는 4,250 ㎛ 이상(무기질 징크 프라이머 사용 시 4,315 ㎛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4∼6 회 도장을 원칙으로 하되 기상 여건에 따라 1 회 추가 도장하여 건조 후의 총 도막 두께가 4,250 ㎛ 이상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 사용 시 4,315 ㎛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때, 1 회 도장 시 건조 도막 두께로 약 700 ~ 1,000 ㎛ 가 적당하다. 1 회에 과도히 두껍게 도장할 경우 도막의 건조지연, 접착불량, 크랙 등 도막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 하여야 한다.


ⓖ 상도 도료는 내화도료 중도의 도장이 완료된 후 3 일(하절기), 7 일(동절기) 이후에 도장 하며,
이때 상도는 각 도료의 시방서에 준하여 도장을 실시 하여야 건조 후의 상도 도막두께가 50 ㎛ 이상, 단 외부 노출부위의 경우 100 ㎛ 이상이 되도록 도장 하여야 한다. 이때 총 건조도막 두께는 4,300 ㎛ (하도 및 중도포함) 이상(무기질 징크 프라이머 사용 시 4,365 ㎛ 이상)이 되도록 한다.
※중도의 도장 완료 후 중도 표면의 먼지 및 기타 이 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상도를 도장한다. 또한 상도 도장 이전까지는 강우나 강설 등의 물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한다.
특히, 외부도장의 경우 강우에 노출 되지 않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시 피도체와의 거리는 30cm 정도로 균일하게 유지하여야 하며, 피도면에 항상 직각이 되도록 도장하여야 한다. 또한 도장 Gun 의 이동속도는 50∼60cm/sec 로 하고 먼저 도장 된 부분과 30∼40%씩 중첩되도록 도장하여야 한다. 도장 시 철골의 코너(Corner) 및 에지(Edge)부위에 과 도막 도장이 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


ⓘ 에어리스 스프레이 장비의 압축 공기압은 4∼5kg/cm2 로 하며 스프레이 건의 팁은 0.025″∼
0.035″가 적당하다. 도료 호스의 길이를 10m 기준으로 할 때 도장 GUN 에는 3∼4 kg/cm2 의
압력이 걸리도록 한다. 분사압력은 210 kg/cm2 이상이 적당하며 펌프의 용량 은 60:1, 45:1 이
적당하다.


ⓙ 플레임 체크 SS-2000(기둥용) 도료는 에어리스 스프레이에 적합 하게 설계되어 특별히 희석할
필요는 없으나, 필요 시 희석 및 장비 세척은 반드시 지정된 희석제 (하절기:신나 014, 동절기:
신나 031)로 희석 또는 세척하여야 하며 이때 최대 5%(부피비)까지 희석하여 사용한다.


다. 보수 도장


ⓐ 보수도장 이외의 면적은 보수도장 작업 시 손상이나 겹 도장으로 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핀홀
등은 Touch-up 하고, 규정도막 두께보다 미달된 부분은 규정도막두께에 이르도록 재 도장한다.
과도하게 흐른 부분, 더스트가 날린 부분 등은 샌딩처리 하여 제거하고 압축공기로 표면을 불어낸 후 규격대로 재 도장한다.


ⓑ 손상되었거나 갈라졌거나, 부풀어오르거나, 벗겨진 부분의 도막은 순수소지가 드러날 때까지
제거하고 주변의 정상적인 도막의 일부도 재도장 시 외관이 양호하도록 약간의 손질이 필요하며 먼지와 이 물질이 제거된 후 규정에 따라 재도장 한다.


ⓒ 도막 검사 시 도장 된 면의 용접 등이 필요한 부분은 용접이 끝난 후 즉시 그라인더로 용접부위를 처리하고 용접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등 손상 도막을 표면처리하고 발청이 시작되기 전에 즉시 보수도장을 한다. 또한 손상부위의 장시간 방치는 발청의 원인이 되므로 즉시 보수 도장을 한다.


ⓓ 기존 건축물을 증축, 개축하면서 내화피복도료로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내화피복도료로
시공된 부분보수 시공하는 경우 구 도막의 외관 및 부착 상태를 먼저 확인한다.


ⓔ 단순히 부분적으로 노후 된 상도도막은 스크래핑에 의해 제거하고, 견고하게 부착되어 기능이
유지된 상도는 표면의 오염물만 수동 공구나 동력 공구로 제거한 후에 내화도료 중도도료와의 층간 밀착성이 양호하면 내화도료 중도 시공 후 상도를 시공한다. 단, 내화도료 중도도료의 건조도막 두께는 4,200 ㎛ 이상이 되도록 한다.


3. 두께측정


① 작업 중


작업 중에 정확한 도포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간이 젖은 도막 측정기구(Wet Film Thickness Gauge)를 사용하여 매회 도장 시마다 도포량을 측정한다.


② 건조 후


건조 후에 정확한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건조도막 측정기(Dry Film Thickness Gauge)를 사용하여 시공자가 감독원, 감리자 및 관계자 입회하에 측정 하여야 한다.


4. 시공 관리


① 도장공사와 관련하여 시공업체(Shop)는 하도 도장부터 현장 설치 및 마감 도장에 이르기까지
전공정이 시방서, 시공 관리, 안전관리 사항을 준수하는가를 확인한다.


② 시방서에 준하여 도장에 관한 제반 작업이 수행되는지 감독관 또는 그 대리인은 감리하며 승인
없이는 제반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특히, 도장사양에 제시된 모든 도료는 규격에 맞도록 전처리
되어진 표면에 도장 되어야 하며 하도, 중도, 상도 도료가 시방서에 명시된 제품인가 필히 확인해야 하며, 명시된 부위에 정해진 도료가 사용되는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③ 감독관 또는 그 대리인은 매회 도장 (하도, 중도, 상도)에 대한 도막두께를 측정, 기록한다.


④ 감독관 또는 그 대리인은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상황 및 작업관계를 매일 기록 (날씨, 대기중의 온도 및 습도, 도료 작업량, 건조 도막 두께 등) 하여 보관하고 도장에 관한 제반 작업이 시방서에 준하지 않을 경우 즉시 수정하여야 한다.


⑤ 도장 감리에 필요한 기기로 도막 상태와 표면 조도를 관찰하기 위한 확대경, 도막의 핀홀을
탐지하기 위한 핀홀 디텍터, 표면 온도 측정기, 젖은 도막/건조 도막두께 측정기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⑥ 표면처리 또는 도장작업 진행 중에 작업은 수시로 점검 되어야 하며 이때 시방서에 따르는가를
확인, 기록하여야 한다.


⑦ 도료의 보관을 위하여 시공업체(Shop) 또는 현장에 별도의 보관 창고를 준비하여야 하며, 보관
창고에는 잠금 장치를 반드시 설치하고 별도의 게시판을 설치하여 도장을 위하여 반출되는 도료의
품명, 수량, 도장 일자 등을 기록하여 유지 및 관리한다.


5. 제품의 취급 및 보관


① 일반도료와 혼합 사용을 금하며, 생산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공급된다.


② 도료는 도료 전용창고에 보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환기가 잘 되고 직사광선, 화기 및 기타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물질을 피할 수 있는 밀폐된 장소에 저장하여야 하며 저장실의 온도는 5℃이상 35℃이하를 유지하여야 한다.


③ 도료창고는 방화에 주의하고, 창고 내부와 그 주변에는 화기사용을 금하는 표시를 하여야 한다.


④ 규정된 방법에 따라 보관된 도료의 보존기간은 제조 일로부터 1 년 이내로 한다. 시공현장 여건상
보존기간이 경과한 도료는 원칙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나 당사 연구소나 고객 상담실에서 도료상태 확인 결과가 사용이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다.


6. 안전 사항


① 작업은 안전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작업량은 건강 또는 안전에 관한 장해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② 도료는 용제나 기타 화학 물질을 함유하므로 저장, 취급, 도장 및 건조를 위하여 적절한 건강 및
안전에 관한 사전 예방 조치가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제품에 관한 최근의 기술 자료를 사전에
숙지하여야 한다.


③ 도료가 도장 되는 동안 모든 작업자는 적절한 보호장구 및 보호복을 착용하여야 한다.


④ 스파크나 불꽃을 일으키는 장비들은 절대 작업장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하고 (장비, 성냥, 라이터
등) 작업 지역에서는 금연 하여야 한다. 모든 장비는 스파크를 막기 위해 접지되어야 한다.


⑤ 음식물은 도료 저장 또는 사용되어지는 장소에서 취식할 수 없다.


⑥ 내부 도장 시, 먼지, 도료 냄새의 흡입을 막기 위하여 적절한 환기 시설을 하여야 한다. 도료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내부의 하단 홀에 Fan 을 설치하여야 한다. 작업자는 안전을 위하여
마스크, 안면 보호구 등을 착용하여야 한다.


⑦ 눈을 특별히 보호되어야 하며 특히 도장 시에는 눈과 얼굴 부위의 보호를 위해서 보호안경을
반드시 착용하여야 한다.


⑧ 모든 작업인원은 장갑, 보호복, 안면 보호구, 마스크와 보호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피부에 도료가 묻었을 때는 비누로 깨끗이 씻어야 하며, 흡연 및 취식 등은 반드시 도장 작업장과 격리된 지정
장소에서 하여야 한다.


2 시간용 유성 내화도료 표준 작업사양서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


본 시방은 일반시설 및 주거시설, 산업시설, 위험물 시설의 2 시간 내화성능을 요하는 철골 보(BEAM)에 피복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피복 방법 및 피복재 고유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작성된 시방서이다.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 도료는 일반 도료 도막으로 도장 되어 화재 시 강력한 내화성능을 발휘하여 화재로부터 철재 구조물을 보호하도록 설계된 국내 최초 유기질 유성 내화도료로서 도막이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면 급속하게 발포 팽창하여 원래의 도막보다 40 ∼ 60 배 체적 팽창되어 견고한 단열 층을 형성하여 열이 철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화성능이 우수한 유성형 발포성 내화도료(중도)로서 삼화페인트공업㈜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으로 사전에 견본을 제출하여 감독관의 승인을 득한 후 적용한다.


1. 적 용 범 위
? 일반시설, 주거시설, 산업시설 및 위험물 시설의 철골 보용의 2 시간용 내화도료.


2. 시 공


1) 표면처리


① 하도 도료가 도장 되어 있지 않을 경우 표면처리는 샌드(sand), 쇼트(shot), 그리트(grit)를 원심분리 휠 혹은 노즐을 통하여 산포하여 피도체에 부착된 밀 스케일, 녹 등의 기타 이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SSPC-SP-10(SIS-Sa 21/2) 까지 처리한다.


② 하도 도료가 기 도장 되어 있을 경우 피도물 표면에 있는 수분, 오물, 먼지 및 이 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한다. 단, 기 도장 된 방청도료의 도막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표면처리 후 KSM 6030 1 종
이상의 방청도료를 재도장 하여야 한다. 당사 추천 하도 이외의 도료를 도장 하거나, 기 도장
되었을 경우 당사와 사전에 협의 하여 적합성 여부를 시험한 후 중도 도장 하여야 한다.
2) 피복재
① 철골 내화 피복재 중도는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으로 1 액형 유성 백색 도료이다.
② 하도는 방청도료를 사용하며, 다양한 색상을 위하여 상도를 도장하여 상도에 따라 최종 색상이
결정된다.
3) 도장사양 및 도장기구
① 하도 : KSM 6030 1 종 광명단 조합페인트류 및 동등이상의 방청도료 (50 ㎛)
도장기구 : 붓, 로울러, 스프레이 등.
② 중도 :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 (4,250 ㎛)
도장기구 :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을 원칙으로 하며, 부분적으로 에어리스 도장이 곤란한
특수한 부위에는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할 수 있음.
③ 상도 : KSM 6020 1 종 조합페인트류, 알키드 에나멜류 및 당사가 추천 하는 KS 표시품
동등이상의 도료 (50 ㎛). 단, 외부 도장의 경우 (최소 100 ㎛이상)
도장기구 : 붓, 로울러, 스프레이 등
4) 표준도장사양
도장
순서
제품명 규격 번호
도장
회수
도막두께
(㎛)
소요량
(L/m2)
실소요량
(L/m2)
비 고
Loss 율
• 하 도
KSM 6030 1 종
방청도료류
SB-P-01 1 50 0.079 0.099 20%
(주 1)슈퍼징크 190BG SB-SZ-190BG 1 75 0.119 0.149 20%
슈퍼폭시 130 SB-SP-130 1 50 0.106 0.133 20%
1
KS 제품 동등 이상의 제품 1 50 - - -
• 실 러 ( 하도가 슈퍼징크 190BG 인 경우)
2 (주 2)슈퍼폭시 130 SB-SP-130 1 40 0.085 0.106 20%
• 중 도
2~3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
SB-F-621
4∼
6
4,250 6.54 8.17 20%
• 상 도
조합 페인트류
(KSM6020 1 종
1 급 기준)
SB-P-20 1 50
0.05~0.08
(색상에
따라 다름)
0.07~0.10
(색상에
따라 다름)
20%
자연건조형 알키드
수지 에나멜류
(KSM6020 2종 1급기준)
SB-E-489 1 50
0.09~0.15
(색상에
따라 다름)
0.11~0.18
(색상에
따라 다름)
20%
염화고무계 도료
(S.C 코트 기준)
SB-P-91 1 50
0.13~0.20
(색상에
따라 다름)
0.15~0.24
(색상에
따라 다름)
20%
아크릴 페인트류
(본코트 AC형 기준)
SB-BT-310 1 50
0.12~0.15
(색상에
따라 다름)
0.14~0.18
(색상에
따라 다름)
20%
3~4
기타 당사가 추천 하는
KS 표시품 동등 이상의 제품
1 50 - - -
합 계
6∼
9
4,350 ~ 4,415 - - -
(주 1). 슈퍼징크 190BG(무기질의 징크 프라이머)로 하도 도장할 경우 반드시 당사 추천 실러(Sealer)를
지정희석제 15~20%(부피비)로 희석하여 도장 하여야 함.
(주 2). 실러 지정 희석제: 신나 395
5) 건조시간 및 조건
① 내화도료 중도 완전 건조기간
구 분 기 간 비 고
하절기 3 개월 이상
동절기 5 개월 이상 건조환경에 따라서 단축/연장이 가능함.
② 건조조건
건조
피복재
지촉 건조 고화건조 경화건조 비고
중 도 (플레임 체크 30 분 12 시간 30 시간 20±1℃
SS-2000(보용)) 1 시간 24 시간 48 시간 5±1℃
* 본 시방은 젖은 도막 두께는 1,000 ㎛이고, 계절 및 주위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의
조건을 기준으로 한다.
* 중도 도장 후 상도는 최소한 중도 및 하도 의 고화 건조 후 50 ㎛이상 도장한다.
* 단, 외부 노출 부위는 상도의 건조 도막 두께가 최소 100 ㎛이상이 되도록 도장 한다.
6) 작업 조건
① 온도
도장 시공시의 기온은 반드시 5℃이상, 40℃이하이며, 만약 표면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건조가
너무 빨라서 핀홀(Pin hole), 퍼짐성 불량, 접착력 감소 등의 도막 결함의 원인이 발생될 수 있으며
표면온도가 너무 낮아 습기나 서리가 있는 경우에는 불완전한 경화, 접착불량, 건조 지연,
Cratering 현상 등 제반 물성을 나타낼 수 없게 됨을 유의해야 한다.
② 습도
도장 시공 시의 습도는 상대습도 30%이상, 85%이하이며, 피도면 온도는 이슬점(Dew Point)보다
3℃이상 높아야 한다. 그리고 습도가 높고 아울러 기온이 높으면 수분의 응축현상이 잘 일어나
도막의 하자 (접착력 감소, 건조불량. 광택얼룩 문제) 요인이 된다.
③ 조명
도장 시공 시의 조명은 시공자가 시공상태, 및 습도막 두께층을 조절할 수 있는 충분한 조도를
확보해야 한다.
④ 전기용량
도장 시공 시의 전기용량은 시공과 관련된 설비들을 규정 용량에 준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전기용량과 정격전압을 확보해야 한다.
⑤ 환기조건
도료 도장 시나 건조과정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해야 하며 밀폐된 공간에서의 도장은 작업자에게
유해할 수 있다.
⑥ 기타 작업 환경
주의 여건상 화학물질이나 분진 등 오염될 수 있는 환경인 경우 피도면의 오염은 세척을 하여야
하며 최대한 도장간격을 줄여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철골 구조물이 설치된 직후 도장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7) 시공 장비
스프레이,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이 가능하나, 도장 방법은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을 원칙으로 하고,
부분적으로 현장 사정상 공사가 곤란할 경우에는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할 수 있다.
① 에어리스 스프레이
가) 압력비 : 60:1, 45 : 1
나) 압력 (PSI) : 3000PSI (210 kg/cm2) 이상
다) 노즐 사이즈 (TIP) : 0.025″∼ 0.035″ (중도), 0.015″∼ 0.029″(상도).
라) 사용 호스 내경: 3/8 인치 이상(10mm이상)
② 에어 컴프레샤
특별한 사양의 에어 컴프레샤가 필요한 것은 아니나, 에어리스 도장기 자체가 많은 양의
압축공기를 소모하므로 도장 중에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을 정도의 공기저장탱크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때 공기저장탱크의 압력은 항상 8 kg/cm2이상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기타장비:스위벨, 붓, 로울러
8) 시공 방법
① 표면처리
도료의 도장에 필요 불가결한 중요공정이 표면처리이며 불충분한 표면처리는 도막 성능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게 됨으로 무엇보다 완벽한 표면처리를 해야 한다.
특히, 철재 표면에는 대체로 적 녹이나 흑피, 가공시의 기계유, 손 기름 등이 묻어 있으므로 이러한
오염물위에 도장을 했을 경우 접착력 불량, 탈리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② 도장방법 및 도구
가. 도장방법의 선택
도장방법은 작업조건 및 작업환경에 의하여 다소 변경될 수 있으며 도장 시 스프레이, 붓, 로울러
등으로 시공이 가능하나, 균일한 도막두께 및 양호한 외관을 얻기 위해서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방법이 좋으며 부분 적인 보수도장 시에 붓 또는 로울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 도장 전에 도장할 표면의 먼지 이상 물질들을 제거해야 하며, 표면이 도장 전에 만족할 만큼
깨끗한 상태인지 육안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 도료를 도장하기 전까지는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동 교반기(Hand Mixer)로 도료
상태가 균일하게 될 때까지 약 5 분 이상 충분히 혼합한 다음에 시공한다.
ⓒ 내화도료 하도 도료는 KSM 6030 1 종 (광명단 조합페인트), 에폭시 수지계 방청도료 등 KSM
6030 1 종 (광명단 조합페인트)동등 이상의 도료를 각각의 규정된 시공방법에 따라 도장하여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50 ㎛ 이상이 되도록 한다.이때 내화도료 하도료 도료로 KSM 6030 1 종
(광명단 조합페인트)도료가 도장 되는 경우 하도 도료의 내부 건조 상태에 따라서 내화도료
도장 시 주름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으니 주의 하여야 한다.
ⓓ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Inorganic Zinc Primer)로 하도를 도장하거나 기 도장된 부위에 내화도료
중도를 도장 할 경우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의 다공성으로 인한 수포(Popping)현상을 방지 하기
위하여,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의 완전 건조된 것을 확인 한 후 반드시 지정된 실러(Sealer)로
도장 하여야 한다. 하도 및 실러 도장 작업은 상기의 표면 전처리 이후 각 시방서의 도장방법에
준하여 도장하여야 하며, 이때 실러는 지정희석제로 15~20%(부피비) 희석 후 미스크 코트(Mist-
Coat) 도장 하여야 한다. 건조후의 도막두께가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는 75 ㎛ 이상, 실러는
40 ㎛ 이상이 되도록 한다.
ⓔ 방청도료가 도장 된 철골의 경우에는 내화도료 중도 도료와의 층간 밀착성을 확인하여 양호한
경우에는 중도 도료를 시공하고, 만약 불량한 경우에는 적합한 내화도료 하도 도료를 도장한
후에 중도 도료를 시공한다.
ⓕ 내화도료 하도 도료를 도장한 후 충분히 건조가 되면 내화도료 중도를 재도장 간격이 온도
20℃, 상대 습도 80%이하의 건조 조건에서 최소 24 시간 이상이 되도록 준수하면서 건조 후
도막의 두께가 중도 단독으로는 4,250 ㎛, 하도를 포함해서는 4,300 ㎛ 이상(무기질 징크
프라이머 사용 시 4,365 ㎛ 이상, 실러 포함)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4∼6 회 도장을 원칙으로
하되 기상 여건에 따라 1 회 추가 도장하여 건조 후의 총 도막 두께가 4,300 ㎛ 이상 (무기질
징크 프라이머 사용 시 4,365 ㎛ 이상, 실러 포함)이 되도록 한다. 이때, 1 회 도장 시 건조 도막
두께로 약 700 ~ 1,000 ㎛ 가 적당하다. 1 회에 과도히 두껍게 도장할 경우 도막의 건조지연,
접착불량, 크랙 등 도막 결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 하여야 한다.
ⓖ 상도 도료는 내화도료 중도의 도장이 완료된 후 3 일(하절기), 7 일(동절기) 이후에 도장 하며,
이때 상도는 각 도료의 시방서에 준하여 도장을 실시 하여야 건조 후의 상도 도막두께가 50 ㎛
이상, 단 외부 노출부위의 경우 100 ㎛ 이상이 되도록 도장 하여야 한다. 이때 총 건조도막
두께는 4,350 ㎛ (하도 및 중도포함) 이상(무기질 징크 프라이머 사용 시 4,415 ㎛ 이상, 실러
포함)이 되도록 한다.
※중도의 도장 완료 후 중도 표면의 먼지 및 기타 이 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상도를
도장한다. 또한 상도 도장 이전까지는 강우나 강설 등의 물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한다.
특히, 외부도장의 경우 강우에 노출 되지 않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시 피도체와의 거리는 30cm 정도로 균일하게 유지하여야 하며,
피도면에 항상 직각이 되도록 도장하여야 한다. 또한 도장 Gun 의 이동속도는 50∼60cm/sec 로
하고 먼저 도장 된 부분과 30∼40%씩 중첩되도록 도장하여야 한다. 도장 시 철골의
코너(Corner) 및 에지(Edge)부위에 과 도막 도장이 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
ⓘ 에어리스 스프레이 장비의 압축 공기압은 4∼5kg/cm2 로 하며 스프레이 건의 팁은 0.025″∼
0.035″가 적당하다. 도료 호스의 길이를 10m 기준으로 할 때 도장 GUN 에는 3∼4 kg/cm2 의
압력이 걸리도록 한다. 분사압력은 210 kg/cm2 이상이 적당하며 펌프의 용량 은 60:1, 45:1 이
적당하다.
ⓙ 플레임 체크 SS-2000(보용) 도료는 에어리스 스프레이에 적합 하게 설계되어 특별히 희석할
필요는 없으나, 필요 시 희석 및 장비 세척은 반드시 지정된 희석제 (하절기:신나 014, 동절기:
신나 031)로 희석 또는 세척하여야 하며 이때 최대 5%(부피비)까지 희석하여 사용한다.
다. 보수 도장
ⓐ 보수도장 이외의 면적은 보수도장 작업 시 손상이나 겹 도장으로 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핀홀
등은 Touch-up 하고, 규정도막 두께보다 미달된 부분은 규정도막두께에 이르도록 재 도장한다.
과도하게 흐른 부분, 더스트가 날린 부분 등은 샌딩처리 하여 제거하고 압축공기로 표면을
불어낸 후 규격대로 재 도장한다.
ⓑ 손상되었거나 갈라졌거나, 부풀어오르거나, 벗겨진 부분의 도막은 순수소지가 드러날 때까지
제거하고 주변의 정상적인 도막의 일부도 재도장 시 외관이 양호하도록 약간의 손질이
필요하며 먼지와 이 물질이 제거된 후 규정에 따라 재도장 한다.
ⓒ 도막 검사 시 도장 된 면의 용접 등이 필요한 부분은 용접이 끝난 후 즉시 그라인더로
용접부위를 처리하고 용접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등 손상 도막을 표면처리하고 발청이
시작되기 전에 즉시 보수도장을 한다. 또한 손상부위의 장시간 방치는 발청의 원인이 되므로
즉시 보수 도장을 한다.
ⓓ 기존 건축물을 증축, 개축하면서 내화피복도료로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 또는 내화피복도료로
시공된 부분보수 시공하는 경우 구 도막의 외관 및 부착 상태를 먼저 확인한다.
ⓔ 단순히 부분적으로 노후 된 상도도막은 스크래핑에 의해 제거하고, 견고하게 부착되어 기능이
유지된 상도는 표면의 오염물만 수동 공구나 동력 공구로 제거한 후에 내화도료 중도도료와의
층간 밀착성이 양호하면 내화도료 중도 시공 후 상도를 시공한다. 단, 내화도료 중도도료의
건조도막 두께는 4,250 ㎛ 이상이 되도록 한다.
3. 두께측정
① 작업 중
작업 중에 정확한 도포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간이 젖은 도막 측정기구(Wet Film Thickness Gauge)
을 사용하여 매회 도장 시마다 도포량을 측정한다.
② 건조 후
건조 후에 정확한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건조도막 측정기(Dry Film Thickness Gauge)를
사용하여 시공자가 감독원, 감리자 및 관계자 입회하에 측정 하여야 한다.
4. 시공 관리
① 도장공사와 관련하여 시공업체(Shop)는 하도 도장부터 현장 설치 및 마감 도장에 이르기까지
전공정이 시방서, 시공 관리, 안전관리 사항을 준수하는가를 확인한다
② 시방서에 준하여 도장에 관한 제반 작업이 수행되는지 감독관 또는 그 대리인은 감리하며 승인
없이는 제반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특히, 도장사양에 제시된 모든 도료는 규격에 맞도록 전처리
되어진 표면에 도장 되어야 하며 하도, 중도, 상도 도료가 시방서에 명시된 제품인가 필히 확인
해야 하며, 명시된 부위에 정해진 도료가 사용되는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③ 감독관 또는 그 대리인은 매회 도장 (하도, 중도, 상도)에 대한 도막두께를 측정, 기록한다.
④ 감독관 또는 그 대리인은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상황 및 작업관계를 매일 기록 (날씨,
대기중의 온도 및 습도, 도료 작업량, 건조 도막 두께 등) 하여 보관하고 도장에 관한 제반 작업이
시방서에 준하지 않을 경우 즉시 수정하여야 한다.
⑤ 도장 감리에 필요한 기기로 도막 상태와 표면 조도를 관찰하기 위한 확대경, 도막의 핀홀을
탐지하기 위한 핀홀 디텍터, 표면 온도 측정기, 젖은 도막/건조 도막두께 측정기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⑥ 표면처리 또는 도장작업 진행 중에 작업은 수시로 점검 되어야 하며 이때 시방서에 따르는가를
확인, 기록하여야 한다.
⑦ 도료의 보관을 위하여 시공업체(Shop) 또는 현장에 별도의 보관 창고를 준비하여야 하며, 보관
창고에는 잠금 장치를 반드시 설치하고 별도의 게시판을 설치하여 도장을 위하여 반출되는 도료의
품명, 수량, 도장 일자 등을 기록하여 유지 및 관리한다.
5. 제품의 취급 및 보관
① 일반도료와 혼합 사용을 금하며, 생산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공급된다.
② 도료는 도료 전용창고에 보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환기가 잘 되고 직사광선, 화기 및 기타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물질을 피할 수 있는 밀폐된 장소에 저장하여야 하며 저장실의 온도는
5℃이상 35℃이하를 유지하여야 한다.
③ 도료창고는 방화에 주의하고, 창고 내부와 그 주변에는 화기사용을 금하는 표시를 하여야 한다.
④ 규정된 방법에 따라 보관된 도료의 보존기간은 제조 일로부터 1 년 이내로 한다. 시공현장 여건상
보존기간이 경과한 도료는 원칙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나 당사 연구소나 고객 상담실에서
도료상태 확인 결과가 사용이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다.
6. 안전 사항
① 작업은 안전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작업량은 건강 또는 안전에 관한 장해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② 도료는 용제나 기타 화학 물질을 함유하므로 저장, 취급, 도장 및 건조를 위하여 적절한 건강 및
안전에 관한 사전 예방 조치가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제품에 관한 최근의 기술 자료를 사전에
숙지하여야 한다.
③ 도료가 도장 되는 동안 모든 작업자는 적절한 보호장구 및 보호복을 착용하여야 한다.
④ 스파크나 불꽃을 일으키는 장비들은 절대 작업장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하고 (장비, 성냥, 라이터
등) 작업 지역에서는 금연 하여야 한다. 모든 장비는 스파크를 막기 위해 접지되어야 한다.
⑤ 음식물은 도료 저장 또는 사용되어지는 장소에서 취식할 수 없다.
⑥ 내부 도장 시, 먼지, 도료 냄새의 흡입을 막기 위하여 적절한 환기 시설을 하여야 한다. 도료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내부의 하단 홀에 Fan 을 설치하여야 한다. 작업자는 안전을 위하여
마스크, 안면 보호구 등을 착용하여야 한다.
⑦ 눈을 특별히 보호되어야 하며 특히 도장 시에는 눈과 얼굴 부위의 보호를 위해서 보호안경을
반드시 착용하여야 한다.
⑧ 모든 작업인원은 장갑, 보호복, 안면 보호구, 마스크와 보호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피부에 도료가
묻었을 때는 비누로 깨끗이 씻어야 하며, 흡연 및 취식 등은 반드시 도장 작업장과 격리된 지정
장소에서 하여야 한다.
[주의사항 및 경고사항]
1. 주의사항
① 타 도료와의 혼합사용을 금합니다.
② 일반도료가 칠해져 있는 곳에 도장할 경우는 당사에 문의한 후 당사에서 추천하는 도장시스템으로
도장하십시오.
③ 상도 도료 도장 이전 까지는 강우나 강설등의 물기에 접촉 되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④ 원활한 작업을 위해 도료는 전동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 후 사용 하십시오.
⑤ 건조도막이 인정도막 두께 이상으로 도장 되어야만 내화구조로서 인정을 받습니다.
⑥ 후속 상도도료의 재도장 간격 시간은 25℃기준 최소 3 일 이상 경과 후 추천 도료로 상도 도장
하십시오.
⑦ 제품은 화기 및 직사광선을 피하여 상온(5∼35℃)의 건냉 암소에 보관하시되, 용기는 반드시
밀폐시키고 주입구가 상단을 향하도록 세워서 보관하십시오. 사용 후 잔량도 같은 방법으로
보관하십시오.
⑧ 비오는 날, 습도가 높은 날(85% 이상), 기온이 낮은 날(5℃이하)에는 정상적인 물성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도장작업을 피하십시오. (도막의 균열, 부착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음)
⑨ 구도막위에 보수도장 시 구 도막과의 적합성을 확인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대리점 또는 당사
고객 상담실로 문의)
⑩ 도장(Touch Up 도장 포함)시에 동일 제품, 색상, Lot 라도 희석비, 도장기구, 도장방법에 따라
이색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동일 Lot 의 제품, 동일 도장용구 및 방법에 의해 도장을
하되, 색상 확인 후 이상이 없을 경우 작업하십시오.
⑪ 도장작업완료 후, 노출된 피부는 깨끗이 씻으십시오.
⑫ 폐 도료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폐기물처리업체를 통해 폐기하십시오.
⑬ 본 제품은 화학 제품이므로 장기간 보관 시 변질이 있을 수 있으니, 유효기간(앞면라벨표기)내에
사용하십시오. 이 기간이 경과한 제품은 당사 고객상담실로 확인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 경고사항
①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시고, 내용물은 두통, 현기증, 피부염 등 건강장해를 일으킬
수 있으니 절대 섭취하거나 증기 흡입 또는 피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②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절대 화기근처에서 보관하거나 도장작업을 하지 마십시오.
③ 유아 및 아동용 용구 및 쌀통 등에는 도장을 금합니다. 반드시, 안전검사를 실시한 저독성 페인트를
도장하여야 합니다.
④ 밀폐된 장소에서 절대 도장하지 마십시오. 단,부득이한 경우 송풍기등을 이용하여 옥외로 강제
배기 시키면서 반드시 방독면 등 안전 보호장구를 착용하여야만 합니다.
⑤ 유기용제가 함유되어있어 장시간 노출 시 인체에 장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⑥ 도장 시 냄새의 흡입 또는 피부접촉을 피하기 위한 유기용제용 방독마스크, 보호안경, 보호장갑 등
필요한 보호구를 착용하십시오.
⑦ 섭취 및 피부 접촉 시 측면에 표기된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경고표시의 조치사항에 따라
조치하시고, 통증 또는 피부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즉시 전문의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⑧ 용도이외의 사용을 절대 금합니다. (냄새 맡기, 연료용 등으로 사용을 금함)
⑨ 제품의 유해성 확인 및 이상발생시 대리점 또는 당사 홈페이지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참조하시거나, 당사 고객상담실(1544-5357)로 문의하십시오.